상단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역통계

강원특별자치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연구 개요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보건의료정책이 확대됨에 따라 정책 수립 과정에 있어 근거에 기반한 정책추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이에 강원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한 정책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반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

  • 강원도 18개 시군별 남성 흡연율(2018) - 높음
    강원도 10개 시군별 남성 흡연율(2018)

    남성 흡연율 : 평생 담배 5갑(100개비)이상 흡연하였고, 현재 흡연자 분율, 만 19세 이상(남성)

  • 강원도 18개 시군별 음주율(2018) - 높음
    강원도 18개 시군별 음주율(2018)

    고위험 음주율 : 연간 음주자 중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 이상(여자 5잔)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 강원도 18개 시군별 비만율(2018) - 높음
    강원도 18개 시군별 비만율(2018)

    자가보고 비만율 :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사람의 분율

  • 강원도 18개 시군별 걷기실천율 및 건강생활 실천율(2018) - 낮음
    강원도 18개 시군별 걷기실천율 및 건강생활 실천율(2018)

    걷기 실천율 : 최근 1주일 동안 1일 30분 이상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분율

  • ① 의료자원

    전국 공공의료기관 해당 진료과목이 개설된 의료기관 개소 수
    전국 공공의료기관 개소 수

    1) 치과진료과목은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과, 치과교정과, 소아치과, 치주과, 치과보존과, 구강내과, 영상치의학과, 구강병리과, 예방치과가 포함됨

    2) 한방진료과목은 한방내과, 한방부인과, 한방소아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한방신경정신과, 침구과, 한방재활의학과, 사상체질과, 한방응급이 포함됨

  • 전국 공공보건의료기관 인력 현황
    전국 공공보건의료기관 인력현황(의과)
    전국 공공보건의료기관 인력현황(간호사)

    출처 :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공공의료기관 정보

  • ② 의료이용

    관내 의료이용률
    관내 의료이용률

    출처 : 국립중앙의료원 헬스맵(2017년)

    관내 의료이용률(RI, Relevance Index) : 해당 지역 거주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중 거주지역 소재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료이용량의 백분율

  •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

    출처 : 국립중앙의료원 헬스맵(2017년)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TRI, Timely Relevence Index) : 해당 지역 거주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거주지역 소재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료이용량의 백분율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이 높다는 것은 실제 의료이용 중 기준시간 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 2차 의료기관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
    2차 의료기관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내과)
    2차 의료기관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외과)
    2차 의료기관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산부인과)
    2차 의료기관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소아과)

    출처 : 국립중앙의료원 헬스맵(2017년)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TRI, Timely Relevence Index) : 해당 지역 거주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거주지역 소재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료이용량의 백분율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이 높다는 것은 실제 의료이용 중 기준시간 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 ③ 건강결과

    시도별 기대수명
    시도별 기대수명(전체)
    시도별 기대수명(남자)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시도별 간이생명표 (2017년)

    기대수명 : 0세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

  • 시도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시도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사망원인통계

    연령표준화사망률 : (인구 10만명당/명) -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 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